2007년 07월 11일
아바타 사용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 블로그 및 제가 활동하는 WEB상의 커뮤니티에서
저작물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는,
나름대로 확고한 기준을 가지고 가급적 맥락에 맞는 인용을 하려고 해 왔습니다만...
사실 아바타에 한해서는 따지고 보면 그냥 무단이긴 했죠.
거기엔 아무런 맥락이 없으니까요.
아니, 억지로 붙여보자면 아주 없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인정될 만한 합당한 맥락은 없다'고 해야겠죠.
뭐, 그렇다고 아바타 좀 사용한다고 해서 저작권자에게 피해가 갈 리도 없고,
실질적으로 문제가 될 리도 없습니다만...
그래도 좀 한 구석으로 걸리는 감은 있어서 일단 내리고
피닉스엔터테인먼트에 메일을 보내봤습니다.
답변은 다음과 같았고요.
----------------------------------------------
個人利用という事であれば、問題ないと思います。
개인이용이라면,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掲載予定のHPをお知らせ下さいませ。
게재예정인 HP를 알려주세요.
フェニックス制作部
피닉스 제작부
----------------------------------------------
예상 이상으로 짧은 답변에 심심한 감이 좀 있었습니다만,
어쨌든 OK라는 얘기입니다. 사실 그래요.
이런 것까지 굳이 막을 이유가 없거든요.
아마 다른 회사들에도 비슷한 요청을 한다면 대부분 OK가 나오리라 생각합니다.
얼마 전에 무단 스트리밍 상영으로 문제가 되었던
모싸이트에 관한 아래 포스팅도 좋은 예입니다.
http://suigintou.egloos.com/3552490
여기서는 당사자가 답변을 완전히 곡해해서 자기 좋을대로만
해석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습니다만, (지금은 잘못을 깨닫고 뉘우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요컨대 회사측으로서는 그 정도의 합당한 인용에는 개의치 않는단 얘기입니다.
이 회사만 특별히 관대하다거나 그런 것은 아닐 겁니다.무슨 크세르크세스도 아니고
저작권에 까다롭기로 유명한 일본의 회사들이라 해도 그렇게까지 까다롭게
한 장 한 장 따져가며 이미지 이용을 기계적으로 제한하려 드는 것은 아니란 얘기죠.
원래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공정 사용, 인용의 범주에 해당하는
사용 정도를 문제시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겁니다.
상식적인 수준으로 사고하고, 판단해서 문맥에 맞는 정도로
너무 과하지만 않게 조절한다면 문제는 없다고 봐요.
(...한국에는 실제로 심하게 과한 경우가 많은 것도 사실이라는 것이 문제긴 하지만)
그리고 아바타처럼 맥락이 없이 통상적인 인용의 범주 밖에 있는 이미지 사용이라도,
실질적으로 피해가 가는 것도 아닌 개인이용인 이상,
대부분의 경우 굳이 막으려 드는 곳은 별로 없을 거라고 봅니다.
그렇다고 '그냥 쓰시는 분들은 꼭 허가를 받으세요!' 라는 얘기는 아닙니다만,
(저 자신도 여태 그냥 썼었고 말이죠^^;)
평소부터도 '사용하면서 좀 찝찝했다...' 는 감을 가지고 계셨던 분이라면
한 번 허가 받기를 시도해 보셔도 나쁘지 않을 듯 하네요.
다만 문제는 OK냐, NG냐의 문제가 아니라 성의의 문제가 있을 순 있어요.
굳이 NG를 외칠 회사는 별로 없을 거라 보는데,
그냥 무성의하게 답변을 안 할 회사는 꽤 있을지도 모르거든요. ^^;;
예를 들어... 이런 류의 문제는 아니었고 다른 문제로
일본 기업에게 문의를 해보거나 한 경험들을 생각해 보면,
동일한 문의에 대해서 어떤 곳은, 사실상 굳이 답변할 의무가 없는
질문인데도 재깍재깍 답신을 보내오는 반면,
어떤 곳은 그저 무시로 일관하는 곳도 있었고 그렇거든요.
음, 뭐, 어쨌든, 그렇습니다.
그런 고로 우측상단의 알베르토님은 귀환.
PS.

개인적으로 타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아바타.
이글루에 걸긴 너무 작고...
그렇다고 크게 만들어서 걸어놓으면 너무
산만할 것 같아서 이글루에선 그냥 정지화상으로.
사실 다시 만들기도 너무 번거롭기도 해서;;;
저거 앞에 불 붙이는 장면은 사실 스크린에 비친 모습이고
앞 쪽으로 혼세마왕 번서가 서 있는 장면이라...
일일히 한 프레임씩 수 십장을 동일구역으로 맞춰서
크랍하느라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었다지요. -_-;
">
">
저작물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는,
나름대로 확고한 기준을 가지고 가급적 맥락에 맞는 인용을 하려고 해 왔습니다만...
사실 아바타에 한해서는 따지고 보면 그냥 무단이긴 했죠.
거기엔 아무런 맥락이 없으니까요.
아니, 억지로 붙여보자면 아주 없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인정될 만한 합당한 맥락은 없다'고 해야겠죠.
뭐, 그렇다고 아바타 좀 사용한다고 해서 저작권자에게 피해가 갈 리도 없고,
실질적으로 문제가 될 리도 없습니다만...
그래도 좀 한 구석으로 걸리는 감은 있어서 일단 내리고
피닉스엔터테인먼트에 메일을 보내봤습니다.
답변은 다음과 같았고요.
----------------------------------------------
個人利用という事であれば、問題ないと思います。
개인이용이라면,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掲載予定のHPをお知らせ下さいませ。
게재예정인 HP를 알려주세요.
フェニックス制作部
피닉스 제작부
----------------------------------------------
예상 이상으로 짧은 답변에 심심한 감이 좀 있었습니다만,
어쨌든 OK라는 얘기입니다. 사실 그래요.
이런 것까지 굳이 막을 이유가 없거든요.
아마 다른 회사들에도 비슷한 요청을 한다면 대부분 OK가 나오리라 생각합니다.
얼마 전에 무단 스트리밍 상영으로 문제가 되었던
모싸이트에 관한 아래 포스팅도 좋은 예입니다.
http://suigintou.egloos.com/3552490
여기서는 당사자가 답변을 완전히 곡해해서 자기 좋을대로만
해석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습니다만, (지금은 잘못을 깨닫고 뉘우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요컨대 회사측으로서는 그 정도의 합당한 인용에는 개의치 않는단 얘기입니다.
이 회사만 특별히 관대하다거나 그런 것은 아닐 겁니다.
저작권에 까다롭기로 유명한 일본의 회사들이라 해도 그렇게까지 까다롭게
한 장 한 장 따져가며 이미지 이용을 기계적으로 제한하려 드는 것은 아니란 얘기죠.
원래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공정 사용, 인용의 범주에 해당하는
사용 정도를 문제시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겁니다.
상식적인 수준으로 사고하고, 판단해서 문맥에 맞는 정도로
너무 과하지만 않게 조절한다면 문제는 없다고 봐요.
(...한국에는 실제로 심하게 과한 경우가 많은 것도 사실이라는 것이 문제긴 하지만)
그리고 아바타처럼 맥락이 없이 통상적인 인용의 범주 밖에 있는 이미지 사용이라도,
실질적으로 피해가 가는 것도 아닌 개인이용인 이상,
대부분의 경우 굳이 막으려 드는 곳은 별로 없을 거라고 봅니다.
그렇다고 '그냥 쓰시는 분들은 꼭 허가를 받으세요!' 라는 얘기는 아닙니다만,
(저 자신도 여태 그냥 썼었고 말이죠^^;)
평소부터도 '사용하면서 좀 찝찝했다...' 는 감을 가지고 계셨던 분이라면
한 번 허가 받기를 시도해 보셔도 나쁘지 않을 듯 하네요.
다만 문제는 OK냐, NG냐의 문제가 아니라 성의의 문제가 있을 순 있어요.
굳이 NG를 외칠 회사는 별로 없을 거라 보는데,
그냥 무성의하게 답변을 안 할 회사는 꽤 있을지도 모르거든요. ^^;;
예를 들어... 이런 류의 문제는 아니었고 다른 문제로
일본 기업에게 문의를 해보거나 한 경험들을 생각해 보면,
동일한 문의에 대해서 어떤 곳은, 사실상 굳이 답변할 의무가 없는
질문인데도 재깍재깍 답신을 보내오는 반면,
어떤 곳은 그저 무시로 일관하는 곳도 있었고 그렇거든요.
음, 뭐, 어쨌든, 그렇습니다.
그런 고로 우측상단의 알베르토님은 귀환.
PS.

개인적으로 타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아바타.
이글루에 걸긴 너무 작고...
그렇다고 크게 만들어서 걸어놓으면 너무
산만할 것 같아서 이글루에선 그냥 정지화상으로.
사실 다시 만들기도 너무 번거롭기도 해서;;;
저거 앞에 불 붙이는 장면은 사실 스크린에 비친 모습이고
앞 쪽으로 혼세마왕 번서가 서 있는 장면이라...
일일히 한 프레임씩 수 십장을 동일구역으로 맞춰서
크랍하느라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었다지요. -_-;
# by | 2007/07/11 22:34 | 활동화상 | 트랙백(1) | 덧글(15)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제목 : 합법적 인용의 기준 - 인용은 적법한 범위 내에서 ..
저작권법에 관해 질문하신 분들, 답변입니다. - 엑시아님댁에서 트랙백.내용 중에 인용은 가능하다, 다만 지켜줘야 하는 선이 있다, 정도로 언급이 되고 있는데,보다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하신 분이 많으실 듯 하여 적어둡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덧붙여서, 근래에 스샷 인용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께 이 기준을 여러번 적어드렸는데,그 때마다 그래도 문제 생기는 거 아니냐며 필요 이상으로 두려워 하거나,제도 자체를 문제......more
대단할 것도 전혀 없는 것이.. 뭐 요즘 세상에 (해당 외국어만 할 줄 알면)
메일 주소 찾고 몇 줄 휙휙 써서 보내는 것이 그다지 어려운 일은 아니니까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도 아니고. 물 건너라고 물 건너 불구경처럼 생각하지 말고,
그냥 일상적인 범주로 생각하면 된다고 봅니다. 인터넷 세상, 지구촌 한 마을 아니겠습니까? :D
(...물 건너이지만, 그들의 소비자이기도 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고 o<-<)
국내 회사들에는 기대하기 힘들죠. -_-;
(가전 대기업이라던가 이런 쪽은 안 그렇겠지만 적어도 문화 관련 업체들은 경험상 대부분)
예를 들어 국내 DVD 관련업체들에는 상당히 많이 문의 넣어봤습니다만...
유일하게 게시판 운영하면서 성실하게 답변하는 곳은 워너코리아가 유일하고,
태원이 메일에 좀 답변하는 정도. 나머지 절대다수는 철저하게 씹는 것이 기본이더군요.
게다가 이 경우는 제품하자라던가 그들이 반드시
답변해야 할 의무가 있는 류의 문의들이었는데도 말이죠.
소비자를 존중하려는 마인드가 전.혀. 없는 것이, 안타깝지만 현실이네요.
(아바타 사용 허가 문의 같은 경우 기본적으로 저작권 개념이 안 갖춰진 사람이
워낙 많으니 해당 직원이 문의의 의도조차 파악하지 못 했을 가능성도 있겠고... orz)
직접 허락을 받아내시다니 훌륭하십니다. 알베르토님 귀환축하!
더불어 저작권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신 분이라는 것도 알 수 있겠네요.
제 생각은, 물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능력과 여건이 된다면 좋은 방법이지만, 누구나 이러한 방법을 쓰기는 쉽지 않을까요? 충격님의 리플중에도 있지만..국내 회사들은 귀찮으니 무시한다거나 할 것 같군요. 이런 부분을 조금 간결하고 쉬운 방법으로, 공정 이용이 아니더라도 비영리적 개인 이용을 권장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된다면 하는 바램입니다. 실제 지금의 패러디(패러디는 합법일 수 있습니다만, 아무튼 애매한 부분의 내용으로 치자면.)등의 웹 문화가 발달한 것도 이러한 비영리적 개인의 사용으로 발전한 면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저작권법의 취지에 따라 법을 조금 유연하게 할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불가능할까요? 너무 꿈을 꾼다고 하시면...뭐..크흑.
'이렇게 허가 받으면 된다'는 뜻이 아니라,
(설령 허가를 따로 받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회사는 이렇게 생각한다'
'그렇게 기계적으로 따져가며 한장 한장 처벌을 하려 드는 것이 아니다' 라는 뜻입니다.
저도 모 만화 팬카페 마스터로 있으면서 출판사에 문의를 했습니다.
통스캔과 이미지의 상업사용만 아니면
특별히 제재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상식'적인 선이라면 출판사도 뭐라 하지 않는데
지금까지 너무 '비상식적'이어서 이 난리가 나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런 식의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할때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두려움을 이기려면 제대로 알면 되겠죠 ^^;
그런 점에서 타의 모범이십니다.